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K-패스 월 평균 18,000원 환급 10개월만에 300만명 돌파

by 정보 모두 모아 2025. 3. 4.
반응형

K-패스 월 평균 18,000원 환급 10개월만에 300만명 돌파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지난해 5월 1일부터 시행된 K-패스 이용자가 3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8월 200만 명을 기록한 이후 7개월 만에 100만 명이 추가로 증가한 것입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1일 2회 제한)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면서도 교통비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커 이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K-패스 환급 혜택 – 월평균 1만 8000원 돌려받는다!

K-패스 이용자들은 **월평균 대중교통비 6만 8000원 중 1만 8000원을 환급(약 26.6%)**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청년층과 저소득층의 혜택이 더욱 크며, 각각 2만 원, 3만 7000원을 환급받고 있습니다.

환급 혜택 요약

  • 일반 이용자: 평균 1만 8000원 환급
  • 청년층(만 19~34세): 평균 2만 원 환급
  •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평균 3만 7000원 환급

이처럼 K-패스는 대중교통비 절감 효과가 크고, 특히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K-패스 이용자 만족도 92.4%! 인기 비결은?

K-패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 92.4%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습니다.

K-패스의 주요 장점
1️⃣ 교통비 절감 효과
2️⃣ 알뜰교통카드보다 편리한 사용 방식
3️⃣ 지자체 지원사업과 연계 가능성

이러한 장점 덕분에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교통비 절감 정책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K-패스 사용 지역 210개 지자체로 확대

K-패스는 초기 시행 당시보다 사용 가능 지역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 2025년 1월 기준, 전국 210개 기초지자체에서 K-패스 이용 가능

특히, 다자녀 가구 지원 강화를 위해 지난 1월부터 ‘다자녀 가구’ 유형을 신설하여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K-패스 환급 비율(2025년 기준)

  • 일반 이용자: 20%
  • 청년층: 30%
  • 저소득층: 53.3%
  • 다자녀 가구
    • 2자녀: 30%
    • 3자녀 이상: 50%

이처럼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며, 지자체 맞춤형 K-패스도 적극 추진되고 있습니다.


📌 광역지자체별 맞춤형 K-패스 도입 – 추가 혜택 가능!

현재 6개 광역지자체에서 K-패스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지자체 지원사업을 운영 중입니다.

지자체 맞춤형 K-패스

  • 경기도: The경기패스
  • 인천광역시: 인천 I-패스
  • 부산광역시: 동백패스
  • 세종특별자치시: 이응패스
  • 광주광역시: 광주 G-패스
  • 경상남도: 경남패스
  • 울산광역시: K-패스 도입 추진 중

이처럼 각 지자체는 자체 예산을 추가 투입해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K-패스와 지자체 지원 혜택을 함께 이용하면 더 큰 교통비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K-패스 앱 & 누리집(korea-pass.kr) 개선 예정

더 편리한 이용을 위해 K-패스 앱과 공식 누리집(korea-pass.kr)이 3월 중 개선될 예정입니다.

주요 개선 사항
🔹 K-패스 카드를 미발급한 이용자를 위한 행동 유도창 신설
🔹 카드별 추가 혜택 및 한도 확인 기능 추가

이러한 개선을 통해 더 많은 국민이 손쉽게 K-패스를 신청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 K-패스, 교통비 절감 대표 정책으로 자리 잡다

강희업 대광위 위원장은 “K-패스는 시행 10개월 만에 300만 명이 이용하는 대중교통비 절감 대표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각 지자체와 협력해 맞춤형 K-패스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한다면, K-패스를 적극 활용하세요!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자동 적용
  • 다양한 지자체 지원사업과 연계 가능
  • 환급 비율 최대 53.3% (저소득층)까지 확대

K-패스 신청 및 확인: https://korea-pass.kr

K-패스를 이용해 대중교통비를 아끼고, 더 편리하게 이동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