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한덕수 권한대행, 역대 최악의 산불 대응 총력… "모든 인력·장비 동원"

by 정보 모두 모아 2025. 3. 26.
반응형

한덕수 권한대행, 역대 최악의 산불 대응 총력… "모든 인력·장비 동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3월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불 방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생했다"며, 모든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총력 대응할 것을 강조했다.

이번 산불은 지난 3월 21일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빠르게 확산되며 큰 피해를 초래했다.

한 권한대행은 "의성 산불이 하루 만에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는 등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피해가 우려된다"며 "이번 주 남은 기간 동안 산불 진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1. 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범정부 산불 대응 총력

정부는 3월 22일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범정부 차원의 통합적인 산불 대응에 나섰다.

  • 3월 22일: 산불 경보 '심각' 발령
  • 3월 25일: 전국 모든 지역으로 '심각' 단계 확대
  •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군·소방·공무원 총력 대응

현재 헬기 128대, 군 인원 1,144명, 소방인력 3,135명, 진화대 1,186명, 공무원 4,652명 등 가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으며, 주한미군의 헬기 지원도 받고 있다.

또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경남 산청, 울산 울주, 경북 의성, 경남 하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하여 피해 복구 및 지원을 강화했다.

2. 피해 규모… 1만 7천 헥타르 산림 소실, 주민 2만 3천 명 대피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는 역대 최악의 수준이다.

  • 현재까지 총 244건의 산불 발생 (전년 대비 2.4배 증가)
  • 산림 1만 7천 헥타르 이상 소실
  • 주택, 공장 등 209개소 파괴
  • 18명 사망, 2만 3천여 명 긴급 대피

특히, 강풍 특보 수준의 거센 바람으로 인해 산불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3. 불법 소각 행위 단속 강화… "위반자 엄정 조치"

한 권한대행은 산불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불법 소각 행위를 강력히 단속할 것을 밝혔다.

산불 발생 원인의 71%가 부주의로 인한 실화로 확인되었으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논·밭두렁 및 쓰레기 불법 소각
  • 담배꽁초 투기
  • 입산 시 화기 소지 (라이터, 버너 등)

이에 따라 정부는 불법 소각 단속을 한층 강화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엄정 조치할 예정이다.

4. 국민 협조 요청… "산불 예방, 모두의 책임"

한덕수 권한대행은 국민 개개인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특히, 산불 예방을 위해 다음 사항을 반드시 지켜줄 것을 요청했다.

논·밭두렁, 쓰레기 불법 소각 금지
담배꽁초 함부로 버리지 않기
입산 시 라이터, 버너 등 화기 소지 금지

그는 "산림이 한 번 훼손되면 원상 복구까지 100년 이상이 걸린다"며, **"더 이상 피해 지역 주민들이 같은 아픔을 겪지 않도록 산불 예방에 동참해달라"**고 강조했다.

5. 산불 진화 최우선… 피해 복구·이재민 지원 강화

정부는 산불 진화를 최우선으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할 방침이다.

또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긴급 구호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한 권한대행은 "산불이 완전히 진화된 후, 정부는 기존 산불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면밀히 점검하고 개선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6. 현장 대응 인력에 감사… "안전 최우선으로 챙길 것"

마지막으로, 한 권한대행은 산불 진화에 힘쓰고 있는 모든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 "산불 진화대, 소방 인력, 군 장병, 지자체 공무원 및 자원봉사자 여러분의 헌신에 감사드립니다."

💬 "지자체장과 군 지휘관들은 진화 작업에 참여하는 분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챙겨주십시오."


7. 결론: 정부·국민 협력 필수… 산불 예방 및 피해 복구 총력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 발생 → 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및 범정부 대응 총력
산불 확산 방지 위해 헬기·군·소방·공무원 등 총동원
불법 소각 및 실화 방지를 위한 단속 강화 → 위반자 엄정 조치
이재민 신속 지원 및 피해 복구 지원 확대
국민 협조 필수 → 불법 소각 금지, 담배꽁초 투기 금지, 입산 시 화기 소지 금지

이번 산불로 인해 국민 안전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다. 정부와 국민이 협력하여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고, 향후 산불 예방 대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